본문 바로가기

에너지/에너지 정책

TNFD

[배경]

  • 전세계 경제 생산량의 50% 이상이 자연자본에 의존하고 있음
  • 자연자본의 손실 = 기업의 재무적 위험을 초래함
  • 2021년 6월 ‘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(Task-force on Nature- related Financial Disclosrue, TNFD)’ 확정됨

2023.09 자연 자본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 가이드라인 “TNFD권고안” 최종 확정

=> TNFD 권고안 확정은 기업에게 기후변화 이외 자연 자본 관리라는 또 다른 과제를 준 것과 같음.

 

<자연 자본의 선제적 관리가 필요한 이유>

 

[TNFD 권고안이란?]

  • 글로벌 자연, 생물 다양성 관련 목표와 연계해 자연 자본 손실로 인한 위험 및 기회를 관리하고 공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
  • TNFD 권고안은 TCFD 권고안과 유사
  • 지배구조 - 전략 - 위험 및 영향관리 - 지표 및 목표 (4가지 핵심 주제 아래 14가지 세부공시 항목으로 구성)

[세부내용]

(1) TNFD 권고안의 기본 구성

 

 

(2) 자연 자본 관련 위험 및 기회와 재무 영향 간의 관계

  • 자연 자본 관련 위험 및 기회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정량화되 값으로 측정→ 공시

 

(3) TNFD 공시 준비를 위한 내부 평가 : LEAP 접근법

: TNFD 공시를 하려면 기업 내부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겠지 → LEAP 접근법 ( Locate, Evaluate, Assess, Prepare)

  • 기업들이 LEAP 접근법을 활용해 내부평가 수행→ 자연자본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부를 공시할 것을 제안
  • 자연자본 의존도와 영향이 높은 지역을 파악 / 기업이 자연자본에 얼마나 의존 / 그 영향 평가 / 자연자본이 기업에 미치는 위험 및 기회 측정 → 공시 준비

 

- 과정 사례 -

광산업)

현장 채굴장 가공 공장, 진입로 등에 있는 토착 식물이 멸종위기 동물 서식지인지 확인하는 등 방식 활용 -> 이후 지하수 공정수를 사용하거나 식물 성장 환경에 사용되는 물양이 줄거나 야적장 토지 점유로 식물 성장이 제한되는 등 영향을 검토도 O -> 막대한 물 사용으로 지역 이해관계자 및 지역 생태계가 의존하는 지역의 수자원이 고갈될 위험이 있는지 파악하고, 물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를 기회로 전환하는 잠재적 기회가 있는지 포착함 -> 높은 비용을 들여 용수를 제공하거나 지역 생태계 파괴로 인한 벌금 부과 가능성 등도 검토한다. 물 없는 공정으로 제품의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법도 고민할 수 있음 

 

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원료 또는 1차 농산물 위험이나 공급망 성과 위험, 자연 소실 및 비즈니스 연속성 위험, 비즈니스 가치 전반의 위험 등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. 또 규제 및 법규의 위험 등을 포함해 물리적·전환적 위험으로 평가될 수 있다.

이러한 물리적, 전환적 위험을 꼭 재무적 리스크로 연결해서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함.

 

물리적, 전환적 위험 -> 기후 및 자연 관련 재무적 리스크로 연결해야함 원자재, 농작물 및 생물자원의 가용성 감소, 자연친화적 제품으로 전환되는 고객으로 인한 매출 감소, 원자재 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변동성, 자연 및 생태계 서비스가 회계에 반영되지 않아 자산이 과대 또는 과소평가되거나 표준·법규 규정 준수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을 따져봐야 함

 

보험 및 금융사 )

  • 산업 별 자연자본 관련 리스크 파악 :: 산업별 자연자본 위험 분석 -> 투자,신용리스크 반영을 추진 -> 보험료 산정 Ex | Axa 그룹은 이미 TNFD 대부분의 요소를 적용하고 기어의 경영 전략에 내재화함.
  • 사업이 생물다양성, 자연, 물에 대한 영향과 의존도를 공개하라는 투자자와 금융 규제 압력에 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함

(4) 기업 대응 방안

  • 자연 자본의 위험 및 기회, TNFD 권고안에 대한 충분한 이해
    • 기업에 재무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자연자본이 무엇인지,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충분한 이해 필요
    • TNFD 권고안 → 향후 자연자본 관련 공시 기준이 될 가능성이 높음
  • 데이터 수집 방안 수립 및 시스템 구축
    • TNFD 권고안에서 기업의 Value Chain 상의 업스트림, 다운스트림에 포함된 간접 사업 지역의 자연 자본 관련 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⇒ 데이터 시스템구축이 필요함
    • 단기적으로 TCFD, GRI, ISSB에서 수집한 데이터 활용
  • LEAP 접근법에 의한 내부 평가 확인
    • 기업 내부 실사 절차가 필요함

[TCFD VS TNFD]

  • TNFD는 지난 2015년 발족한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(TCFD·Taskforce on Climate-related Financial Disclosures)와 함께 글로벌 기업의 ESG 정보 공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음
  • TCFD와 TNFD는 ESG 측면에서 ▲지배구조 ▲경영전략 ▲리스크관리 등에 초점을 맞춰 정보공개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비슷함
  • 다만 TNFD는 TCFD보다 더 광범위한 영역에서 위험요인과 기회를 분석함. 기후변화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하고 이를 재무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TCFD의 목적이라면, TNFD는 기업활동으로 인한 자연파괴 자체를 재무정보로 만들고 공개하는 것이 목적임

=> 온실가스 배출량처럼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가 적으며, 육지와 해양 생태계까지 다양한 기업활동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. 그래서 자연 자본의 리스크가 기후 리스크보다 다면적이며 기업의 재무적 불안정성이 더욱 급격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

 

 

[출처 및 읽어보면 좋은 자료]

TCFD의 기업 유도 정책

http://www.erri.or.kr/bbs/board.php?bo_table=B51&wr_id=429

몸에 맞지 않는 ESG 경영 펼치는 기업들···경영 가이드라인 등 제도 마련 중요

https://eiec.kdi.re.kr/publish/naraView.do?fcode=00002000040000100001&cidx=13355&sel_year=2021&sel_month=06

세계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?

https://www.esgeconomy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204

삼일 ESG Platform 보고서 

https://www.futurechosun.com/archives/65152

https://www.eugenefn.com/common/files/amail//20230926_B_isbang_141.pdf